예전과 달리, 요즘은 가정 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각종 기기에서 지원하게 된 DLNA 기술, Wi-Fi 유무선 공유기의 보급, NAS 또는 저전력 서버용 컴퓨터의 보급 등 덕분이다. 개인용 웹하드처럼 사용하는 파일서버 용도, 가정 내에서 저장된 영상, 음악등을 영상을 PC, 폰, 태블릿, TV를 통해 보기위한 미디어서버 용도. 개인서버의 시대이다.약간 타겟이 다른 기술들이긴 한데 개인용 서버로 사용할 것을 찾다보니 비교하게 된 점을 쓴 글이다. 타켓이 다르기에 표로 깔끔히 정리할 순 없고, 비슷한 고민이 있는 유저라면 그냥 참조할 것.

FTP 프로토콜

먼저 FTP, 오래됬고 그만큼 간단한 파일전송 프로토콜이다. 보안은 허술하다곤 하지만 SFTP,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FTPS 등 또한 보급되었기 때문에 딱히 걱정할 거리는 안되는것 같다.(애초에 개인용으로 쓰는데.. 보안프로토콜 치고는 속도도 거의 차이가없다) 간단한만큼 속도는 최상급으로 뽑아준다고 보면된다. 물론 클라이언트 측에 상황에 따라 제한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긴 하다. 서버구성 또한 간단한 편이며, 대놓고 스트리밍하라고 만든 놈은 아니지만 클라이언트 앱에 따라 스트리밍도 잘 지원한다. 파일 서버로도 쓰는 나에게 매우 적합했다.

무엇보다 장점은, 공유기 내부 망 뿐만 아니라, 그게 아닌 밖 어디에서든 인터넷이 통한다면 사용가능한 외부 접속 또한 잘 지원한다. (프로토콜인만큼.. 여기 서술하는 녀석들 중에서는 외부 망 접속을 지원하는 놈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 내부망으로 이용하는 기술도 VPN을 이용하면 되긴 하는데 귀찮지않은가). 요즘같이 저렴한 가정용 공유기도 기가비트랜, ac규격 무선랜으로 인해 적어도 가정 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를 누리게 된 상황이다. 또한 꽤 오래전부터 추가되었던 기능인 DDNS, 포트포워딩 기능만 있다면 외부 망 구성은 껌이다.

FTP서버 구성은 접속도 굉장히 간편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구성후 내 컴퓨터를 클릭하여 주소창에 ftp://로 시작하는 주소를 입력해봐도 접속이 되고, 웹브라우저 IE나 크롬에도 입력해본다. 접속된다. 모바일 크롬에서도 입력해본다. 접속가능하다. 웹브라우저 접속이 가능해서 사실상 가장 많은 클라이언트가 지원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세부적인 접속 설정은 지원하지 않아서, 특히 웹브라우저의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약간 불편하니 전용 앱을 사용하도록 한다.(생각보다 언어가 유니코드인지, FTP방식이 패시브인지 액티브인지 설정하는 부분이 없어 접속 오류가 나는 경우도 꽤 된다.) 그리고 SFTP나 FTPS의 경우는 전문 앱 이외에는 그렇게 많이까진 지원하지 않는편이다.

단점으로 언급하자면 FTP 스트리밍중 그렇게 만족할만한 앱은 별로 없다. 파일 전송이 목적이기 때문인지...(전 글인 FTP 스트리밍 앱 관련 글을 보자.)

윈도우도 자체적으로 lis를 통한 FTP 서버 기능을 지원하는데, 기본적으로 내 계정의 내 폴더가 공유되는 것. 로그인 시에도 실제로 내가 사용하는 윈도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접속하는, 윈도우 계정 기반. 보통 이게 정상인거 같은데 미묘하게 나한테 불편하다. 안쓰는 컴퓨터를 리눅스의 vsftpd를 이용해 FTP를 구성한 적도 있었는데, 포기하고 윈도우 파일질라로 갈아탄 것은 내가 리눅스 실력이 많이 부족하기도 했고, vsftpd의 리눅스 계정 기반 FTP 공유 시스템(실제 리눅스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 루트는 내 계정 폴더)이 굉장히 불편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로그 보기가 GUI가 아니다 보니 불편했다.(오히려 설정은 옵션이 많아서 확실히 나았다). 요즘이야 가상계정을 만드는 테크닉 등이 있는것 같은데 윈도우 FTP 앱 대부분은 원하는 FTP의 가상계정을 생성하고, 원하는 폴더를 적절히 루트로 만들어 서버를 열 수 있기 때문이다.(나는 파일질라는 권장한다. FTPS 지원도 잘 된다.) 후에 DLNA 부분에서 언급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라이브러리 등록 공유 방식은 이런 "계정 기반 서버"에 데자뷰를 느끼게 해준다.

DLNA 기술

몇년전부터 스마트TV, 태블릿, 스마트폰에 탑재되기 시작한 DLNA기술. 미디어 서버가 중점이기 때문에 스트리밍이 잘 지원된다. 그렇지만 DLNA는 애초부터 스트리밍 지원이 좋다. 속도도 잘 나오는 편이고, FTP와 달리 대중적으로 기기들에 많이 탑재하는 기술 - 즉 사용성이 편리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버튼 몇번만 누르면 구성이 끝난다.(FTP는 아예 설정할 것이 적다고 할 수 있겠으나 이건 아예 쉽게 만들어놓았다) 얼마 전 구입한 소니 엑스페리아 시리즈를 보니, Throw, 미디어 서버... 똑같은 기술을 가지고 많은 기능이 있었다.. 내가 보고 느꼈던건 쓸데없이 분화했다라는 느낌이었지만 좀 더 생각해보니 일반 유저에게는 훨씬 이 편이 DLNA 기술이라고 써놓으며 명시하는 것보단 더 와닿을 것이라 생각된다.(이 글을 작성하기 위해 찾아보면서 알게 된 건데, DLNA는 소니가 시작한 거였다!)

LG 옵티머스 시리즈를 구입하고 DLNA 기능이 있길래 궁금해서 찾아보고, 그 당시에는 지원 된 기기가 별로 없었는데 그래서 쓸데없는 기능인줄 알았다. 각종 기기에서 적극 홍보(?)하는 수준이라 많이 사용하고, 그만큼 DLNA관련 자료들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대충 보기에는 핸드폰->TV 정도만 되는것 같았는데, 그때에선 크롬캐스트와 MHL과 혼동했었다.(실상은 화면 미러링같은게 아니라 서버-클라이언트 같은 느낌이었다) 최근 FTP와 비교해가면서 구성해본 결과 공유기 내에서 컴퓨터에서 서버를 만들어 폰에서 받거나 넷에 연결된 TV로 받을수 있다는거였고, 폰에서도 서버를 만들어 폰의 파일들을 컴퓨터나 TV로 받을수도 있다는 거였다. 근데 보통 기능이 동영상앱이나 사진앱에서 들어가면 보이는지라 그 이외 일반 문서파일, zip파일등도 공유가되는지 궁금했는데, 그 점은 아직 확인을 못해봤다.

앞서 FTP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미흡한편이라고 글을 적었었다. 하지만 DLNA의 경우에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미약하다. 엑스페리아에선 다양한 DLNA 기술을 지원하는데, 사용하기는 간편하지만 그만큼 서버의 설정을 구체적으로 구성하기는 힘든편이다. 컴퓨터에서 서버를 만들자.(여기까지 오면 알겠지만 요즘엔 DLNA라고 기술명을 명시하는 것보다 '공유'라던지 '쉐어링' 이라던지의 명칭으로 나와있다) 쨌든 평소에는 mkv도 잘 지원안되고.. 자막도 설정 세세하게 안되고.. 미묘하게 양키스러운 디자인때문에 별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켜보자. 그 다음 상단 바 아래에 스트림 드롭 다운 버튼을 클릭한다. 홈 미디어 구성을 적용하고 미디어 스트리밍도 설정 한다.(그놈의 홈미디어 기능의 정체가 뭔가 싶었더니 이런 기능이었다. 무엇보다 WMP의 미디어 공유 기능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다). 비디오 등록은 윈도우 라이브러리에 비디오는 비디오가 있는 폴더를 등록해주고, 음악은 음악 라이브러리에 등록.

WMP의 경우는 무료이긴 하나 플레이어 자체가 좀 부족한 점이 많고 mkv도 인식이 기본적으로 안되기때문에 등록을 따로 해줘야 하는등 불편한 점이 많다. 무엇보다 등록방식도 상당히 맘에 들지 않는다.

쨌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mkv등 보통 플레이어라면 다 지원할 놈들이 검색자체가 안되고, 라이브러리 등록, 자막의 지원한계.. 쨌든 관리가 불편하다.

그래서 다른 DLNA 서버가 있는지 찾아봤다. 삼성에서 지원하는 것도 있고 꽤나 많이 있는데, FTP류와 다르게 상당수가 유료이고, 무료인 놈들은 자막문제, 경로문제, 부족한점이 하나씩은 있더라. 그리고 FTP의 외부망 기능을 강조했듯이, DLNA는 가정 네트워크가 중점이다. 따라서 외부 망에서 접속하기가 불가능하다! 외부 무선 스트리밍이나 파일 전송은 바라질 못한다는 소리다. VPN을 쓰면 가능하긴 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내가 선호하는 방식은 아니다. 서버 구성하는 등의 경우에도 기기명 등으로 공유되는등 확실히 외부망 지원은 고려하지 않은 기술인것같다

대충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검색질로 알아내고 내가 판단한 점은 이정도까지다. 물론 기술이 몇가지 더 있다. SAMBA(요즘은 잘 사용하지도 않고, DLNA와 마찬가지로 외부망 지원이 안된다. 하지만 내부망 윈도우끼리 기준에서는 속도도 잘나오고 셋팅도 간편하고 접속이 굉장히 쉽다. 차이점은 이놈은 파일 공유가 중점이다. 드라이브공유나.), WebDav(NAS에 요즘 많이 쓰이면서 보게된 기술인데, 아직 공부중이라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워낙 FTP를 선호해서 말이다.),XBMC(한동안 꽤 유행했던거 같은데 요즘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XBMC의 외부 저장소 참조로 FTP서버나 WebDav 서버를 참조해 보는 경우가 많은듯..), 각종 클라우드 서비스(용량이야 요즘 각종 기업 덕분에 엄청난 수준이지만 그만큼 서버에 업로드를 해야한다는 점과, 말그대로 속도가 안좋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겠다. 간단한 파일공유로는 쓸만하다고 본다.)